교육행정직 일병 구하기 122

업무처리기일안내 띄우기

서비스용역관리에 보면 지급일자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급예정일자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 자동이체일자로 설정하시거나 지급 기한일자로 설정하시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요, 지급 기한이 말일이라 하더라도 고지서가 25일 경에 도착한다면 25일로 설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경우 업무처리기일안내에서 공과금을 지출할 시기가 다가왔다고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케듀파인 메인화면에 보시면 포틀릿 한 쪽이 공백입니다 저 더하기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이렇게 개인환경설정으로 들어옵니다. 여기서 업무처리기일안내를 클릭하시고 우측에 밀어넣고 저장하시면 전입금, 공과금, 만기예정 내역 등을 알려줍니다. 아직 업무가 낯설어 공과금 깜빡깜빡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겁니다. ^^

회계 초에 필요한 승낙사항 작성에 관하여

승낙사항은 회계 초에 한 번 입력하면 해당 내용을 계속 끌어가기 때문에 대부분 작성 등을 고민해보신 적이 없을 겁니다. 그러나 지금처럼 새로운 회계가 시작되면 승낙사항의 숫자가 모두 사라지고 이를 새로이 입력해야 하는데요 저도 항상 지난 회계 값을 복사 붙여넣기 하는 수준에 그쳤지만 궁금하기도 하고 한 번 정리해두면 두고두고 쓸 수 있을 것 같아 한 번 시간을 투자해보았습니다. 1. 물품 가. 납품기한내에 완납하지 못할 때에는 그 지연일수 1일에 대하여 납품되지 아니한 물품대가의 1000분의( )에 해당하는 지연배상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75조(지연배상금률) 영 제90조제1항에 따른 지연배상금률은 다음 각 호와 같다. 2. 물품의 제조ㆍ구매..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 이야기

보통 교행이라고 하면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을 말하긴 하지만 국가직 교육행정 공무원도 있기 때문에 제목에 지방을 붙였습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이라고 하면 사실 잘 모르시는 분이 많습니다. 당장 저만 해도 학교에서 일한다고 했을 때 선생님이냐고 물어보지 않은 경우가 없거든요. 행정실에서 일한다고 하면 거기 사람들도 공무원이냐고 묻는 사람도 많구요. ^^;; 심지어 같이 일하는 교사 중에도 행정실 주무관이 시청이나 군청에서 근무할 수 있다고 생각하거나 교육공무직과 구분을 못하는 사람이 종종 있을 정도입니다. 비주류 중의 비주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최근 완도 행정실장 관련 기사나 교육행정직 신규 공무원 경험담 등을 보면서 씁쓸한 감정을 느꼈는데요.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현실에 대해 조금 적어볼까 하고 키보드를..

NEIS 충북 교육공무직원 급여 근무일지 가이드

충북 교육공무직 급여 프로그램의 핵심인 부분이 이 근무일지 입력인데 신규 분들은 물론이고 경력자 분들도 힘들어하시는 분이 많은 것 같아 조금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사실 매뉴얼에서도 자세히 설명을 안 해줘서 저도 실무에서 직접 돌려가며 알아낸 것들이라 얼마나 잘 써나갈지 모르겠습니다만.... ㅎㅎㅎ 연초에 입력한 학사일정에서 기본적인 근무구분을 끌어오는데 올해 코로나로 학사일정이 4월까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프로그램 개발할 때 이런 일을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학사일정을 입력한 후 급여를 한 번이라도 돌리면 학사일정을 수정할 수 없게 만들었는데 덕분에 올해 학사일정이 상당히 꼬여버렸고 덩달아 근무일지도 수정해야 할 일이 많아졌죠. 그러다보니 착오 입력하는 사례가 종종 보여 최근 경험한 사례를 바탕으로 ..

행정실 사무분장에 대한 잡상

행정직 업무를 크게 나누면 예산계약 / 지출재산물품 / 급여세외 / 민원세입 이렇게 덩어리로 분장하는 경우가 많은 듯합니다. 보통 신규가 급여를 분장받고 경력자가 지출을 분장받는 편이죠. 이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신규들 자리가 기존 사무원자리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급여는 잘못되어도 수습이 쉬운 편이라는 점도 무시할 수 없구요. 문제는 공무직 급여가 신규가 감당하기는 조금 벅차다는 건데 이 문제를 어떻게 개선하는 게 좋을까요? 기존 사무분장 기조를 유지하면서 개선할 수도 있을 겁니다. 신규 발령 전에 공무직 급여에 대한 상세한 교육을 진행하는 방법이 그겁니다. 합격 후가 아닌 발령 직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주에서 2주정도 깊이있는 교육을 진행하면 사실 다른 업무야 현장에서 ..

신규를 위한 사례 중심 여비 길라잡이 3. 교육훈련여비

교육훈련여비란 공무원교육훈련기관에 입교하여 교육훈련을 받는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민간기업체 등의 연수원에서 직무와 관련하여 국내위탁교육훈련을 받는 공무원에게 지급하는 여비를 말합니다. 그럼 교육훈련기관이 뭔지 알아야겠죠? 쉽게 말해서 연수원입니다. 각 지자체는 소속 공무원의 교육훈련을 위한 전문 기관을 둡니다. 신규 여러분이 임용 후 신규교육을 받은 기관이 바로 교육훈련기관입니다. 충청북도교육청의 경우 단재교육연수원을 말하는 거죠. 꼭 자기 지자체 연수원이 아니라 다른 기관이나 기업의 연수원에 입교하는 경우도 교육훈련여비를 지급합니다. 무슨무슨 교육이라고 해도 교육훈련기관에 입교한 것이 아니라 교육지원청 등에 모여서 교육받는 것은 일반여비로 지급하면 됩니다. 교육훈련여비는 위 표의 지급 기준대로 하시면 ..

연말정산 초보를 위한 납세자연맹 소개

연말정산에서 원천징수의무자의 역할은 세법 검토가 아닙니다. 그렇다고 연말정산을 단순히 취합하는 게 전부냐면 사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원천징수의무자는 근로자가 제출한 서류를 검토하여 누락된 것이 있다면 이를 공제에 반영하지 말아야 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이게 세법 검토 아니냐고요? 조금 다릅니다. 가령 성년인 자녀를 기본공제에 체크해서 제출했다고 가정해보죠. 자녀 기본공제의 요건은 만20세 이하이며 연간소득금액 100만원 이하입니다. 인적공제를 위해서는 등본 혹은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애초에 이 제출이 누락된 경우 연말정산의무자는 이를 공제에 반영해서는 안 됩니다. 물론 저 서류를 받음으로서 만20세 이하 여부도 판단할 수 있으니 여기까지도 원천징수의무자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

배우자 의료비 몰아주기에 대한 오해

저도 예전에 잘못 알았던 것 중 하나가 부부의 경우 의료비 몰아주기가 가능하므로 배우자의 의료비 내역을 삭제하고 자기가 받을 수 있다는 말이었습니다. 지금도 이렇게 아시는 분 정말 많더라구요. 의료비는 연령제한이 없을 뿐 아니라 소득제한까지 없는 특수한 공제입니다. 바로 이 부분이 부부간 의료비 몰아주기가 가능하다는 오해로 퍼진 것입니다. 저 문구를 정확하게 서술하면 기본공제 대상이 아닌 직계존비속과 배우자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도 지출한 자가 공제받을 수 있다 입니다. 즉, 내가 내 카드로 배우자의 병원비를 결제한 것은 의료비 공제 대상이지만 배우자가 배우자의 카드로 병원비를 결제한 것은 의료비 공제 대상이 아닌 것입니다. 그러나 현금의 경우 지출자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으므로 유리한 사람에게 몰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