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직 일병 구하기 122

지출증빙과 부가가치세 신고

지출증빙을 잘못입력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 가에 대한 질문이 심심찮게 올라오는 듯해서 오래만에 키보드를 잡습니다. 각종 고지서에 보면 작게 전자세금계산서 표시가 되어있고 공급가액와 세액을 표시해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지출 건에 대한 지출증빙은?조달청 제3자단가계약에 대한 납품과 검사검수가 끝나면 업체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합니다. 조달청에서는 대금고지서를 보내죠. 이 지출 건에 대한 지출증빙은? 업무하면서 저도 고민해본 문제고 종종 질문 받기도 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입력하는 지출증빙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아보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지출증빙에 대한 자료는 세무관리 탭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에듀파인 세무관리에서 불러오는 자료는 세금계산서와 계산서 뿐입니다. ..

일용근로자 및 기간제근로자의 관공서 공휴일의 유급휴일 및 휴일근로 적용 여부

질의일용근로자 및 기간제근로자의 관공서 공휴일의 유급휴일 및 휴일근로 적용 여부회시 답변1. 일용근로자의 관공서 공휴일 적용 여부일용근로자에 대한 관공서 공휴일 부여 문제와 관련, 근로기준법상의 휴일제도는 연속된 근로에서의 근로자의 피로회복과 사회적・문화적 생활의 향유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유급휴일제도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평상적인 근로관계, 즉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해 왔고, 계속적인 근로제공이 예정되어 있는 상태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므로(2009.12.24. 선고 2007다73277),- 일(日) 단위로 근로계약을 하고 그날의 근로를 마치면 근로관계가 종료되는 일용근로자에게는 원칙적으로 유급휴일 부여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할 것임(근로개선정책과-6257, 2014.11.12.).- 또한 위와 같이 유..

왜 나라장터와 학교장터를 이용해 물품을 구매해야 할까요?

은근히 자주 올라오는 질문이 꼭 나라장터나 학교장터를 이용해 물품을 구매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이더라구요. 그래서 한 번 정리해보려고 키보드를 잡았습니다. 우선 조달에 있는 물건을 우선 구매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그 근거는 아래 규정을 따릅니다. 조달사업에 관한 법률 제11조(계약체결의 요청) ① 수요기관의 장은 수요물자 또는 공사 관련 계약을 체결할 때 계약 요청 금액 및 계약의 성격 등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조달청장에게 계약체결을 요청하여야 한다. 다만, 천재지변 등 부득이한 사유로 계약체결을 요청할 수 없거나 국방 또는 국가기밀의 보호, 재해 또는 긴급 복구 및 기술의 특수성 등으로 계약체결을 요청하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연말정산 왕초보를 위한 실무 매뉴얼

0. 먼저 읽어보시면 좋은 글 연말정산의 기본 개념 https://munyak.tistory.com/entry/%EC%97%B0%EB%A7%90%EC%A0%95%EC%82%B0%EC%9D%98-%EA%B8%B0%EB%B3%B8-%EA%B0%9C%EB%85%90 처음하는 연말정산 이 것만 알아도 중간은 간다 https://munyak.tistory.com/entry/%EC%B2%98%EC%9D%8C%ED%95%98%EB%8A%94-%EC%97%B0%EB%A7%90%EC%A0%95%EC%82%B0-%EC%9D%B4%EA%B2%83%EB%A7%8C-%EC%95%8C%EC%95%84%EB%8F%84-%EC%A4%91%EA%B0%84%EC%9D%80-%EA%B0%84%EB%8B%A4 연말정산은 기본적으로 근로자 ..

처음하는 연말정산 이 것만 알아도 중간은 간다

연말정산 시즌을 맞이하야 연말정산을 처음 하는 분들을 위해 짧고 굵게 설명해보겠습니다. 1. 연말정산: 연간 총 소득에 대해 세금을 다시 계산하는 행위 가. 연간 총 소득: 월급+상여금+기타수당(외부강사료, 방과후수당 등) 나. 소득공제: 연간 총 소득을 줄여줌(총소득 3천만원에 소득공제 500만원인 사람은 소득 금액을 2,500만원으로 세금 계산) 다. 세액공제: 납부 세액을 줄여줌(소득세 계산 결과 10만원 납부해야할 때 세액공제가 2만원이면 납부 세액은 8만원이 됨) 2. 연말정산의 목표: 결정세액을 줄이는 것, 결정세액이 0원이라면 추가적으로 공제 자료를 등록할 필요가 없음 가. 결정세액: 소득공제/세액공제를 적용하여 재계산한 후 최종적으로 근로자에게 부과하는 세금 나. 기납부세액: 월급에서 매월..

[충북]일하면서 자주 찾아보게 되는 지침 모음

신규 분들과 이야기를 할 때 지침에 다 있는 내용인데 어느 지침에 있는지를 몰라서 찾지 못하고 헤매는 모습을 많이 봅니다. 그래서 유용한 지침 몇 가지를 엄선(?)해서 소개해볼까 합니다. 1.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계약 초보다보니 최근 가장 자주 열어보는 지침입니다. 정말 상세하고 많은 내용이 담겨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처음에는 학교회계 디딤돌이나 예산회계실무를 뒤져보는 편이었는데 이 지침만 살펴봐도 대부분 해결되더군요. 2. 지방자치단체 교육비특별회계 세출예산 집행기준: 지출은 이제 조금은 익숙해졌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아리까리한 부분이 나오기 마련인데, 그 때마다 쏠쏠한 도움을 받습니다. 다만 교특 기준이어서 학교회계랑은 다소 안 맞는 부분이 있는데, 최근 학교회계팀에서 T/F팀을 꾸..

학교회계 예산 초보를 위한 예산 요구서 작성법

일반적으로 예산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사업 추진을 위해 예산 요구를 하는 이유와 사업 목적 달성에 필요한 금액에 대한 구체적인 산출 근거를 밝히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지 않고 예산 요구서 정도만 작성해서 처리하는데 이러다보니 굉장히 부실한 예산 요구서가 많고 자연히 허술한 예산 편성이 되기 십상입니다. 편성 후에야 문제가 발견돼 골머리를 썩거나, 대충 편법으로 넘기는 경우기 부지기수죠. 2회 추경 시즌을 맞이하여, 최근 교직원에게 예산 관련 안내를 자주 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엉망으로 요구하는 사람도 있었고, 안내한 보람이 있게 깔끔하게 요구하는 사람도 있었으며, 덕분에 많이 배운다고 감사의 인사를 건내는 분도 있었습니다. 추경 요구 마감 전 막내가 본인이 담..

사업소득 vs 기타소득 어느 것이 맞을까?

연말정산 시즌에 맞추어 사업소득과 기타소득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고자 글을 작성해봅니다. 실무에서 접할 일도 많고 그만큼 어렵기도 한 게 사업소득과 기타소득의 구분입니다. 세법에서는 간단하게 계속, 반복적이면 사업소득, 우발, 일시적이면 기타소득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나 실무에서 이를 구분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 안녕하십니까. 항상 국세행정에 대한 관심과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1. 소득의 구분은 용역제공의 계속성 등에 따라 사업소득・기타소득으로 구분됩니다. 고용관계 없이 독립된 자격으로 수익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직업상 사업활동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계속적, 반복적으로 용역을 제공하고 성과에 따라 지급받는 금액은 사업소득에 해당하는 것이며,일시적, 우발적으로 용역을 제공하고 받는 수당 등은 기타소득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