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 지 ]
거주자 · 비거주자의 구분은 거주기간·직업·국내에서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및 국내 소재 자산의 유무 등 생활관계의 객관적 사실에 따라 판단하는 것임.
[ 회 신 ]
“거주자”라 함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년 이상 거소를 둔 개인을 말하는 것이며 거주자 · 비거주자의 구분은 거주기간·직업·국내에서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및 국내 소재 자산의 유무 등 생활관계의 객관적 사실에 따라 판단하는 것으로서, 계속하여 1년 이상 국외에 거주할 것을 통상 필요로 하는 직업을 가지고 출국하거나 국외에서 직업을 갖고 1년 이상 계속하여 거주하는 때에도 국내에 가족 및 자산의 유무 등과 관련하여 생활의 근거가 국내에 있는 것으로 보는 때에는 거주자로 보는 것이며, 귀 질의의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지는 사실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확인하여 판단할 사항임.
(소득, 서면인터넷방문상담1팀-1556 , 2006.11.16)
'교육행정직 일병 구하기 > 행정해석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공서 공휴일이 휴무일 등과 겹칠 경우 휴일수당 지급 여부 (0) | 2021.04.29 |
---|---|
1박2일 근로자의 휴일근로 및 연장근로 해당여부 (0) | 2021.04.29 |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연장근로한 경우 가산수당 지급 의무 (0) | 2021.04.29 |
연장근로를 금지할 수 있는지 (0) | 2021.04.29 |
근로자의 자발적인 연장근로에도 한계를 지켜야 하는지 (0) | 2021.04.29 |